안녕하세요! 외과 병동은 수술을 많이 하기때문에 환자분들이 자주 "수술 후 목이 아파요"라고 말씀 하세요!
전신마취가 무엇인지 왜 수술 후에 목이 아픈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일단 전신마취에 대해 설명해볼게요!
전신마취란??
전신마취는 의식소실, 감각차단, 운동차단 그리고 반사차단 등의 총체적인 현상을 말하며, 마취제를 사용하여 수술에 필요한 최적의 생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는 진료행위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즉 흡입마취제 및 정맥마취제를 사용하여 수술을 하는 동안 환자의 의식을 소실시켜 통증을 느끼지 못하고, 불필요한 반사기능을 차단시키며, 근육 이완제를 사용하여 근육을 이완시켜 수술을 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상태로 이르도록 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상당한 정도의 골격근 이완을 필요로 하므로, 수술 절개 부위의 위치 때문에 오랜 시간 동안 불편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나, 호흡 통제가 필요한 경우에 시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매우 불안한 경우, 국소마취나 부위 마취를 거부하거나 금기인 경우, 혹은 환자가 비협조적인 경우(정서상태, 미숙, 중독, 두부 손상, 오랜 시간동안 부동할 수 없는 병태생리학적 과정)에도 시행합니다. 전신마취는 흡입, 정맥, 그리고 직장으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 종류의 약물을 사용하는 병용 기술이 전신마취의 가장 흔한 방법입니다.
<전신마취제의 종류>
흡입마취제 | 흡입마취제는 전신마취의 기초입니다. 전신마취에 사용되는 흡입마취제는 휘발성 액체(실온에서 액체 형태)나 가스(실온에서 가스 형태)입니다. 휠발성 액체 마취제는 운반가스로서의 산소와 혼합된 후에 특별히 고안된 기화기를 통하여 주입됩니다. 흡입마취제를 마스크나 기관내관을 통해 직접 폐로 흡입시켜 환자를 마취시키는 방법입니다. 흡입마취제는 일단 환자가 정맥 마취제로 마취가 유도된 후 기관내 관을 통해 투여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 입니다. |
정맥유도제 | 실제로 성인의 전신마취는 일반적으로 모두 정맥마취 유도제로 시작됩니다. 정맥 낼 전신마취제를 투여하면 환자는 편안하게 수면이 유도되고 신속히 마취됩니다. 그리고 발치나 골반검사와 같은 간단한 절에는 정맥 마취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정맥 마취제로 barbiturates계통의 thiopental(Pentothal)이 가장 흔하게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약동학 및 약역학 지식의 발전과 더불어 약효의 발현과 소실이 빠른 최면제(propofol)나 진통제(alfentanil, remifentanil)의 등장으로 쉽게 정확한 약제 주입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
전신마취 보조제 |
전신마취 시 한 가지 약제만 사용하는 것은 드뭅니다. 흡입 마취제에 첨가된 약물을 보조제(adjuncts)라고 합니다. 이러한 약물은 무의식, 진통, 기억 상실, 근육 이완, 자율신경계 조절을 위해 마취제에 특별히 첨가됩니다. 보조제는 마약성 진통제, benzodiazepines, 신경근육 차단제(근육 이완제), 항구토제가 있습니다. |
해리 마취제 |
해리마취제는 감각 통로를 차단하여 뇌의 연합영역의 경로를 방해합니다. 환자에게 망각 증상이 나타난 진통 효과가 수술 후 까지 충분히 지속됩니다. 이러한 종류의 마취제는 근육 이완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충분한 진통 효과와 망각증이 필요한 수술 및 검사에 사용됩니다. (ex. 화상 소독과 드레싱 교환) |
전신 마취 기관내 삽관(intubation)
모든 종류의 수술에 전신마취를 시행하는 경우, 기도 유지를 위하여 기관내 삽관이 적용됩니다. (폐환기를 보조하기 위해, 후두의 방어반사가 적절하지 못할때 폐를 보호하기 위해) 기도삽관을 하게되면 기도를 확실히 유지하여 환기와 산소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기도를 통한 효과적인 흡인 및 응급 약물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인후통의 가능한 원인으로는 기관삽관으로 인한 기도외상, 기도점막의 탈수 혹은 부종, 기도유지기등을 들 수 있습니다. 기도 점막에 기관내 튜브 커프에 의한 압력이 기도점막의 허혈과 인후통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습하지 않은 마취가스와 분비물 억제제의 사용이 기도 점막을 전조하게 만들어 인후통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목이 아프거나 목이 쉬는 경우는 전신마취 시 흔한일이고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은 많이 나아집니다.
다들 걱정안하셔도 되고 기침 및 심호흡을 열심히 해서 폐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출처: 아주대학교 병원, 성인간호학(수문사), 보건복지부
'병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 후 섬망, 기나긴 밤근무였습니다....ㅜㅜ (1) | 2023.05.14 |
---|---|
섬망! 가족분들 도와주세요! (2) | 2023.05.13 |
B형간염의 모든것!(원인, 증상과 징후, 진단, 치료, 예후, 예방) (0) | 2020.10.16 |
림프절에 문제가 생기면 나타나는 것들! (0) | 2020.10.09 |
중증환자 산정특례 등록 및 혜택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0)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