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담관조영술 3가지에 대해 공부해볼게요.
많이 하는 검사라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어용!!
담관조영술(Cholangiography) 또는 담관췌장조영술(Cholangiopancreatography)
담관에 요오드 조영제를 주입한 후에 X-선 촬영을 하는 겁니다. 담관조영술은 3가지 방법으로 시행합니다.

1. 내시경 역행 담췌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당을 조영한 후 직접 보는 겁사입니다. 구강을 통해 내시경을 십이지장으로 삽입합니다. 십이지장 유두개를 통해 작은 카테터를 담관이나 췌관 내로 삽입합니다. 조영제를 카테터 안으로 주입시켜 X-선 촬영을 합니다. 담당 구조를 관찰하거나 총담관 하부에 정체 되어 있는 담석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검사 전날 자정부터 금식합니다.
-시술직전 Pethidine(마약성 진통제; 진통, 진정, 진경제)를 투여합니다.
-환자는 천장을 보고 누운자세나 옆으로 눕습니다.
-검사가 끝난 후에는 활력징후의 변화, 감염이나 천공, 패혈증 등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경피경간 담관조영술(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PTC)

담낭을 통해 조영제를 직접 주사하여 X-선 촬영을 하는 검사입니다. 비교적 농축되어 있는 조영제는 담당으로 들어가 간 내에 위취한 간관, 총담관 전체, 담낭관 및 담낭의 선명한 윤곽을 볼 수 있도록 합니다. 이 검사법은 환자가 간 기능 이상을 보이거나 황달이 있는 경우에도 시행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담낭 폐색으로 인한 간질환으로 현저한 황달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으므로, 담낭 절제술을 받은 사람의 위장 증상을 관찰하거나 담관 내 결석의 위치를 변경시킬때 혹은 담낭과 관련된 암 진단에 쓰입니다.
-환자는 천장을 보고 눕습니다.
-주사부위는 : 우측 갈비 모서리 아래, 중앙쇄골과 만나는 곳으로 소독하고 국소마취로 마취시킨 후 조금 절개하여 스타일렛과 바늘을 삽입합니다.
-바늘을 천천히 빼면서 주사기에 담즙이 보일때까지 서서히 흡인합니다. 가능한 많은 양의 담즙을 빼낸 후, 조영제를 주사하고 X-선 촬영을 합니다.
-모든 절차가 끝나고 바늘을 제거하기 전에, 가능한 많은 조영제와 담즙을 흡인해냄으로써 바늘이 삽입됐던 통로로 조영제와 담즙이 새어 나와 복강으로 흘러들어가 담즙성 복막염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을 감소시킵니다.
-검사 후 합병증의 발생은 드물지만, 환자가 출혈, 복막염, 패혈증의 증상있는지 확인합니다. 출혈이나 담즙이 새는 경우에 환자가 우상복부에서의 심한 통증을 호소합니다.
-조영제로 인하여 배뇨시에 불편감이 있습니다. 수분을 많이 드시면 됩니다.
3. T-튜브 담관조영술 (T-tube cholangiography)
담낭적출술 후 T-튜브를 통해 조영제를 주입하여 환자의 담관에 결석이 남아 있는지 여부 또는 담즙배설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담당적출술 후 1주일 정도에 시행합니다.
서울아산병원, 현무사(성인간호학 Ⅰ)
'병원이야기 > 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공명영상 (MRI) 목적, 주의사항, 검사방법, 소요시간 (0) | 2023.05.24 |
---|---|
전산화단층촬영 (CT) 검사 목적, 주의사항, 검사방법, 검사 후 주의사항 (0) | 2023.05.22 |
전신 뼈 검사(Bone scan, 본 스캔) 목적, 검사과정, 주의사항 (0) | 2020.10.20 |
갑상선 스캔(Thyroid Scanning) (0) | 2020.10.02 |
PET-CT (0) | 2020.09.23 |